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5년 공무원 봉급이 평균 3.0% 인상되며, 특히 9급 초임 공무원은 6.6% 인상으로 처음으로 월급 200만 원을 돌파했습니다. 이번 인상은 저연차 실무 공무원의 처우 개선을 목표로 하며, 육아휴직수당 상한액 인상 등 다양한 수당 조정도 함께 이루어졌습니다.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.

     

    공무원봉급표

     

    봉급 인상 개요

     

    인사혁신처는 2025년 공무원 보수규정 및 수당규정 개정을 통해 전체 공무원 보수를 전년 대비 평균 3.0% 인상하였습니다.

     

    특히, 9급 초임(1호봉) 공무원의 봉급은 전년 대비 6.6% 인상되어 처음으로 월 200만 원을 넘게 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이러한 인상은 저연차 실무 공무원의 처우 개선을 위한 조치로, 7~9급 일부 저연차 공무원의 봉급을 추가로 인상하였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직급별 봉급표 요약

     

    아래는 2025년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 등 4호봉까지 봉급표입니다.

     

    2025공무원봉급표
    2025공무원봉급표

     

    ※ 위 금액은 기본급만을 기준으로 하며, 각종 수당은 별도입니다.

     

    📌기타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실수령액 계산 예시

     

    공무원 급여에서 세금 및 각종 보험료가 공제되므로 실수령액은 기본급과 차이가 납니다.

     

    일반적으로 공무원 급여에서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이 차감됩니다.

     

    예를 들어, 2025년 9급 1호봉 공무원의 기본급은 2,000,900원이며, 공제 항목을 반영한 실수령액은 약 1,519,309원입니다. 이는 개인의 추가 수당, 세금 감면 혜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공무원 수당 종류 및 변경 사항

     

    공무원들은 기본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을 받습니다. 2025년에는 일부 수당이 인상되거나 신설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• 정액급식비: 월 14만 원 → 15만 원
    • 직급보조비: 6급 이하 기준 월 18.5만 원 → 21만 원
    • 육아휴직수당 상한액: 월 150만 원 → 최대 250만 원
    • 육아휴직수당 지급기간 확대: 12개월 → 18개월
    • 위험근무수당: 월 6만 원 → 7만 원
    • 민원업무수당 가산금: 월 3만 원 신설
    • 가족수당: 첫째 자녀 2만 원 인상, 둘째 및 셋째 이후 자녀 각 1만 원 인상
    • 특수업무수당: 사서(5급 이상) 3만 원 → 4만 원, 사서(6급 이하) 2만 원 → 3만 원

     

     

   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 

    Q1: 2025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은 어떻게 되나요?

    A: 전체 공무원 보수는 전년 대비 평균 3.0% 인상되었으며, 9급 초임 공무원은 6.6% 인상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Q2: 9급 초임 공무원의 월급은 얼마인가요?

    A: 2025년 9급 초임(1호봉) 공무원의 월봉급은 2,000,900원입니다.

     

    Q3: 실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

    A: 기본급에서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 등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이 실수령액입니다.

     

    Q4: 공무원 수당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?

    A: 정액급식비, 직급보조비, 육아휴직수당, 위험근무수당, 민원업무수당, 가족수당, 특수업무수당 등 다양한 수당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Q5: 육아휴직수당은 어떻게 변경되었나요?

    A: 육아휴직수당 상한액이 월 150만 원에서 최대 250만 원으로 인상되었으며, 지급기간도 최대 18개월로 확대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마무리하며

    2025년 공무원 봉급 인상은 저연차 실무 공무원의 처우 개선과 육아휴직수당 등 복지 제도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앞으로도 공무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합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